2015년도 대한건축학회 기념품 _ 셀카봉

4월 - 27 2015 | no comments | By

2015.4.25

지난주 금요일 명지대 자연캠퍼스에서 2015년도 대한건축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가 있었다. 우리 연구단 워크숍 및 각종 행사에 참석하면서 많은 연구자를 만나서 좋았다. 기념품으로 셀카봉을 받았는데 새로운 감각의 좋은 아이디어 산물로 생각된다. 일부러 사기에는 좀 거시기한 측면이 있었는데…
사용법도 익힐 겸 난재루 정원에서 집사람과 몇 커트해보았다. 기대보다는 성능이 뛰어니다.

20150426_111452 20150426_111802

친구 P교장집 신축공사_1주차(4)

4월 - 25 2015 | no comments | By

2015년 4월20일 – 4월25일

주요작업

– 매트 거푸집 작업 및 철근 조립
– 매트 콘크리트 타설

지난 주말 버림콘크리트 타설 이후, 비가 내려서 양생이 잘 되었고, 4월21일 현장에 들렀을 때 매트 거푸집이 좀 이상하게 조립된 것을 보고, 집에 돌아와서 도면을 보니 외벽쪽 치수가 잘 못된 것을 발견하였다. 어제 아침에 도목수에게 전화하니 잘 이해한다. P교장에 의하면 외벽 부분을 전체적으로 거푸집과 철근 배근을 수정하였다고 한다.

아침에 9시경 현장에 나갔는데 이미 콘크리트 타설이 시작되었다. 전기배관을 위한 파이프와 지열 라인 연결을 위한 파이프도 설치되어 있다. 지열 파이프가 보일러실로 나오는 위치를 코너 쪽으로 조정하도록 조치하였다. 콘크리트 약 50㎥를 2시간여에 걸려서 타설을 완료하였다. 이후 레미콘 트럭과 펌프카를 서로 세차하는 모습이 다정해보인다.

집에 돌아오면서 다음 공정을 생각해보았다. 매트와 1층 바닥 사이에 흙을 채우기로 하였는데, 흙의 상태가 건조한 상태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1층 바닥을 뚫고 습기가 올라올 것 같은 걱정이 들었다. 장소장과 통화하여, 흙과 상부에 덮을 비닐 사이에 여러 개의 파이프를 묻고 이를 외벽의 단열재와 치장벽돌 사이로 빼내면 습기가 차지 않을 것 같다는 결론을 얻었다. 도목수에게 전화하여 설명해주고 자재를 준비하도록 부탁하였다.

그 사이 지열보일러 시공자와 계약하고 공사중 배관 등을 맡아주기로 결정.

1429786206510 1429786212468 1429786217080 1429786221585

고3 반창회

4월 - 25 2015 | no comments | By

2015.4.25

엊그제 고3때 담임 양태후 선생님께서 전화를 걸어오셨다. 선생님께서 제자의 안부를 묻는 전화에 몸둘바를 몰랐다. 가끔 전화를 통하긴 했지만 요즘 뜸했었다. 친구들 안부도 물을 겸 다른 일도 있어서 해서 전화를 주신 것이다.

토요일인 오늘 무창포에서 39회(3학년 9반 반창회) 모임이 있는 날이라서, 다시 선생님께 전화드려서 오늘 모임에 참석하시도로 권했다. 다행스럽게도 선생님도 시간이 되시고, 반창회 임원들도 환영의 뜻을 보여서 모임이 성사되었다.

내가 익산 댁으로 가서 모시고 무창포 모임에 참석했다가 다시 댁으로 모셔다 드렸다. 70대 후반이신데도 여전히 건강하시고 유머와 총기가 예전과 똑 같다. 학교 때 분필 하나와 출석부만 들고 오셔서 명강의를 하셨던 것이 엊그제 같다.  남을 돕고 살라는 덕담도 해주셨다. 아무쪼록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기원한다.

1430056123967 1430131946424

난재루 영산홍과 수선화

4월 - 23 2015 | no comments | By

2015.4.23

출근길에 붉게 타오르는 영산홍과 단아한 수선화가 나를 배웅한다. 열정과 단아함의 균형을 유지하라는 의미?

20150423_073820 20150423_073832

친구 P교장집 신축공사_시작(3)

4월 - 19 2015 | no comments | By

2015년 4월13일-18일

주요작업

– 타파기
– 바닥 다지기
– 비닐깔기
– 버림 콘크리트 타설
– 공사용 경사로 조성

10여일전 기공식에 이어서, 오늘(4월18일)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20150418_111431 20150418_111724 20150418_143018

 

2015 APNHR Gwangju

4월 - 10 2015 | no comments | By

2015.4.10

2015 APNHR(The Asia-Pacific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Gwangju에 다녀왔다. 구 도청이 있는 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렸는데 신축건축물이 아직 완공되지 않은 상태라서 좀 어수선했다. “Floating House for New Resilient Living”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생각보다는 여러사람이 흥미를 표하고 질문도 있었다. 이어 신양파크호텔에서 열린 Gala 파티에 참석했다가 귀가했다. 이 호텔은 결혼 후 신혼여행 시 첫날밤을 보냈던 인연이 있는 곳이다. 오랫만에 경희대 주서령교수님을 만났고, 호남대 이세준교수님, 동신대 손승광교수님(주거학회 회장), 단국대 이재훈교수님, 동신대 이상준교수님, 군산대 이지숙교수님, 한경대 조용훈교수님, 전남대 오세규교수님, 조용준 광주도시공사사장님(전 조선대 교수) 등 많은 지인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주거관련 학회는 여성회원이 절반이 넘어서 그런지 분위기가 한결 부드럽다.

2015_APNHR_CHMOON

논문발표_01_1428674797871논문발표_02_1428674775874로비_20150410_171502갈라_01_20150410_190500갈라_02_20150410_191343명찰_Scan

 

난재루 정원의 튤립

4월 - 08 2015 | no comments | By

2015.4.8

아침 출근 길에 정원에 있는 튤립의 배웅을 받으며 출근한다. 오늘은 뭔가 좋은 일이 있을 것 같다. 이번 주말에는 튤립이 절정을 이루고, 붉은 빛의 영산홍이 정원을 수놓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50407_073723

Sea and Farm Laver Institute(씨앤팜 김 연구소)

4월 - 08 2015 | no comments | By

2015.4.8.

지난 2월 퇴임하신 이종화 전 군산대 교수님을 찾아갔다. 서울 학회 출장 때문에 2월31일 열린 연구소 창립식에 참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술대 김병옥교수와 함께 연구소를 둘러보고 ,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김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주된 연구 품목은 학교 재직 시부터 계속해오고 있는 김 양식에 필요한 영양제 개발이다. 안정된 연구를 진행하며 건강하게 잘 지내시는 것을 보고 기쁜 마음으로 돌아왔다. 이런 사례는 정년퇴임 이후 모범적인 생활로 귀감이 될 만하다.

sea&Farm_20150408_125402

1 119 120 121 122 123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