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Clemson 대학생활(4)

3/15-3/21
– 월요일부터 본격적으로 Summer Time(Daylight saving) 시작. 여기에 도착하여 1개월여 노력하여 적응하기 시작했는데, 서머타임이 시작되어 다시 신체가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듯.
– 이번 주는 Clemson대학이 Spring Break. 강의는 없으나 Architecture+Health 대학원생들은 대부분 학교에 나와서 졸업논문 준비, 과제 준비 등.
– Architecture+Health 대학원 부교수인 Dina에게 연구수행 시 병원이나 노인주거시설 답사를 하게 되면 나도 참여할 수 있도록 동반을 요청. 언제든지 원하면 참여하고 의견을 달라고 답을 받음. Dina 교수는 10개의 병원/노인시설 프로젝트를 진행중. 현재 내가 참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는 병원시설 POE 프로젝트.
– Clemson/Central recreation center 이용시작 : 집사람 수영 시작, 재우는 수시로 실내체육관에서 농구, 나는 가끔 수영하고 운동 못하는 날에 헬스시설 이용 예정.
– 처음으로 한국의 은행계좌에서 미국 은행계좌로 인터넷 송금. 한국은행에서는 즉시 처리되어 미국의 휴대폰으로 메시지가 왔으나, 휴일이라서 그런지 미국 은행 계좌에는 미입금. 평일 근무시간 이후에나 처리될 듯.
– 대학시설 : 화장실이 분산되어 있으며 대변기의 경우 높은 것과 낮은 것이 구비되어 선택 가능. 소변기는 앞뒤로 깊이어서 소변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 건물의 2-3층으로 낮으나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제대로 구비.
– 건축과 설계실 : 맨 위층에 “ㅁ”자 중정을 둘러싸면서 설계실을 배치하면서 복도를 없앰. 자연스럽게 통행공간이 만들어지고 넓은 공간으로 활용. 세계 어디를 가보아도 설계실은 지저분한데 여기도 마찬가지.
– 분산된 지역으로 곳곳에 교회와 인접하여 묘지공원이 있음. 꽃이 잘 유지되는 것을 보면 지역주민들이 많이 찾는 것으로 보임.
– Drive-in : 은행, 각종 패스트푸드 음식점 등.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음.
– 아파트 주변이 숲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매일 아침 잠을 깨워주는 새, 부지런히 움직이는 청솔모를 쉽게 볼 수 있음.















2010 Clemson 대학생활(3)

3/8-3/14
– 이번 주는 거의 매일 비가 왔기 때문에 외부활동에 제약이 많았음. 일기예보가 상당히 정확하여 상당히 신뢰받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행사나 활동을 잘 조정하고 있음.
– 인터넷쇼핑(여기서는 온라인쇼핑) 시작 : 생각보다는 빨리 배송됨. 한국에서는 인터넷뱅킹이라고 하나 여기서는 온라인뱅킹. 용어를 좀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 재우 등교시키는데 이웃 한경대 김태진교수 가족과 카풀 시작. 등교는 내가 담당하고, 하교는 김교수 가족이 담당.
– Stephen교수 수업 참여.
* 건축가의 역할에 대한 논의 : 종전의 사무실에서 업무을 수주하기 위해서 연락을 기다리던 태도에서 벗어나, 사회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일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Haiti 재난에서 건축가들이 뭘 했는가를 반성해야 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단시일내에 제공할 수 있는 병원과 주거시설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공급했어야 옳다.
*병원의 안전관리 : YOU TUBE를 활용하는데, 담당교수가 준비해온 목록과 또 현장에서 검색한 동영상을 보면서 병원에서 감염이나 의료사고를 시설계획에서 줄이는 방안 논의. 인상적인 것은 간호사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same handed하게 설계해야한다는 주장. 일반적으로 설비라인 배관을 줄이기 위해서 평면설계 시 인접한 입원실을 mirrored 설계해온 것을 뒤집는 주장.
– Rest Area : 건축과 중정에 설치한 휴게공간. 특히 점심시간 등에 Hammock(그물침대)과 의자에 많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면서 휴식을 취함.
– 캠퍼스 구릉의 낮은 부분을 이용하여 Strom Thurmond Institute 설립. 지역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공공서비스에 대하여 다양한 활동. 대학의 역사를 정리한 부분도 보임.
– 2010 HEAL(Health Economy Advancement Legacy) SC. 컨퍼런스가 끝나고 다음 행사에 대비한 이메일 설문조사. 일종의 CQI로서 이번 행사를 반성하고 다음 행사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됨. 또한 발표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웹사트에 올리고 안내 메일 발송. 설문항목 : 1) How often should we hold HEAL SC?(Annually Every two years Every three years), 2) What was the best part of the conference? 3) What could be improved for the next HEAL SC conference? 4) Should the next conference be 1 day only or 2 days? 5) What did you think of the registration fees and the registration process? Please advise on ways to improve. 6) Did the conference provide value to your economic development mission? 7) What elements of the conference were of most value to you?
– 군산대 우체국을 통하여 1월22일 보냈던 선편화물 2박스 도착(45일정도 소요). 이상한 것은 12월24일 보냈던 9박스 중 1개는 현재도 미도착.
– 테니스 및 골프 라운딩 : 우천 관계로 클렘슨대학 실내코트에서 테니스. 근처의 컨트리 클럽에서 골프 라운딩.
– South Carolina 정식 운전면허증 도착. 그러나 유효기간이 비자기간과 유사하게 2011년 3월 4일까지로 정해짐.







2010 Clemson 대학생활(2)

3월1일-3월7일
– 체크로 아파트 및 가구 렌트비 결재
– 첫 골프 라운딩 : 지역의 체육과 교수 및 방문교수와 함께. 연회원권 구입
– 연방정부 지원 보건소 프로젝트 프로그래밍 수업 참여. 오늘은 해당 보건소에서 직원이 와서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담당교수 및 학생들과 질의응답.
– 2010 HEAL(Health Economy Advancement Legacy) SC, Columbia 참석(March 2-3)
– 종전 California 운전면허를 South Carolina 것으로 전환(transfer). 임시면허를 발급받고, 나중에 정식면허증은 집으로 배달된다고 함. 구비서류가 복잡. 매번 대학교에서 발급하는 증명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대학 국제교류부에서도 DMV를 골치 아픈 기관으로 여김.
– 클렘슨대학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교수이며 Institute for Engaged Aging 소장인 Cheryl J. Dye교수와 미팅. seniorSMART 진행에 대한 의견 교환. IEA 9월 정기미팅에서 내 연구결과 발표 요청.
– 벨기에 루벤대학 건축과를 퇴임한 Jan Delrue교수가 남미 병원프로젝트에 대한 한국 시공회사/건축설계회사 정보요청
– 집근처 Central-Clemson Recreation Center에 가족 연회원 등록($475) : 수영, 헬스, 에어로빅, 실내농구 등.
– 아틀란타 한국식품점(H-mart)에 쇼핑











2010 Clemson 대학생활(1)

2월17일 2월18일-28일
|
큰 아들, 재상 서울대 대학원 토목과 석사학위과정 졸업


2010년 한울회 모임

한울회 모임, 2010.1.30-31, 무주리조트








2010년 학과교수워크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