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문동신 시장님 면담

11월 - 17 2016 | no comments | By

문동신시장님께 2가지 현안을 말씀드리기 위하여 면담을 신청하였다. 10월26일 오전으로 일정이 잡혀서 이광태과장님과 함께 시장님을 뵙고 군산전북대병원, 고군산군도 플로팅주차장에 대한 건의 말씀을 드렸다. 긍정적으로 검토하시기겠다고 답변을 주셨다.

군산전북대병원 : 충분한 대지확보가 중요함을 강조

문동신 시장님 보고_플로팅주차장

고군산군도 플로팅 주차장 : 시범사업 추진을 건의

 

photo_0_s photo_4_s

고군산군도 플로팅 주차장(지역기반 산학위원회)

11월 - 17 2016 | no comments | By

이번학기 3학년 수해양건축설계 시간에 진행한 결과물을 가지고 공학교육센터가 지원하는 지역기반 산학위원회(2016.10.31)를 개최하였다. 우리지역에는 아름다운 고군산군도가 있는데 육지와 연결하기 위한 교량이 준공을 앞두고 있다. 새만금지역과 연결되어서 고군산군도는 앞으로 관광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개통에 따라서 주차장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조기 개통된 부분에서 주차장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4개 섬 지역에 1,500여대의 신규 주차수요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서 산을 절개하거나 물공간을 매립해야하는 등 환경 훼손에 따른 난개발이 우려된다.

지난 5년간 우리학과가 주관으로 시행한 국토교통부 플로팅건축연구단의 연구를 바탕으로 주차장 문제를 학생들과 설계과제로 진행해보기로 하였다. 섬 지역의 적절한 물 공간을 찾아서 아름다운 플로팅 주차장을 건축한다면 자연환경 훼손 등의 문제는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반기 과제는 섬 지역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서 플로팅 주차장 건축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생들과 함께 4 팀을 구성하여 자료조사, 현장답사, 설계제안 등을 진행하였다.

산학위원회를 열기 위하여 지역의 조선관련 업체의 임직원, 군산시 건축직 공무원, 건축사사무소 임직원, 지역의 신문기자, 학과 교수님 등을 초청하였다. 내가 과제 진행의 개요를 설명하고, 4팀이 차례로 자신들의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이후 다양한 토론이 이어졌는데, “경치가 좋은 곳에 건축되는 플로팅주차장은 주차장 기능 이상의 아이콘(명품)이 되어야 한다”, “물 공간에 주차하는 것이 일반인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겠는가?”, “경제성도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군산시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면 좋겠다” 등의 의견과 몇가지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고군산군도에 플로팅 주차장을 제안하는 것은 우리 학생과 지역의 전문가들에게도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하고 이를 실현하는데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01_img_9842_s 02_img_9850_s 03_img_9855_s %ec%a3%bc%ec%b0%a8%ec%88%98%ec%9a%94_%ea%b7%b8%eb%a6%bc02 01_20161025_160657_s 02_%eb%ac%b4%eb%85%80%eb%8f%84_s 03_%ec%8b%a0%ec%8b%9c2%ec%a7%80%ea%b5%ac_%ec%a7%80%eb%b6%95%ec%88%98%ec%a0%952_s%ea%b7%b8%eb%a6%bc01

난재루 화분의 월동준비

11월 - 06 2016 | no comments | By

정원의 화분에서 자라고 있는 열대식물들의 월동을 위하여 지하층(햇빛이 드는 지층) 실내의 베란다로 옮겼다. 외부에서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식물은 약간의 보호 장치(비닐을 덮는 등)를 해준다. 겨울을 잘 이겨내고 내년 봄에 제자리로 돌아가길 빌어본다.

20161106_172029_s 20161106_172156_s

파리의 플로팅 정원

10월 - 10 2016 | no comments | By

파리 세느강에 2013년 조성된 이 플로팅 정원은 1,800㎡ 규모이고 5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었다. 다양한 식생을 통하여 파리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여름을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독특하고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 5개의 작은 섬은 보행로로 연결되고 강변 보도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적절한 수목과 가구가 배치되어 있는데, 어린이 놀이터, 데크 의자, 새를 위한 정글 온실 등이 각 섬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 8월 말 아프리카 카메룬 출장 시 연결 비행기 일정상 파리에 하루 머물 기회가 있어서 들러보았다. 많은 시민들이 가족이나 친구와 작은 파티를 즐기고, 편안하게 독서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 플로팅 정원이 물을 가까이하면서 다양한 자연환경을 통하여 주민들에게 심리적인 지속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f_01_p1010502 f_04_p1010509 f_07_p1010494

a_03_p1010478 b_02_p1010529 c_03_p1010482 d_02_p1010486 e_03_p1010493

익산시 경관위원회 위원

9월 - 29 2016 | no comments | By

2016.9.29

익산시 경관위원회 위원 및 경관.건축공동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됨

(기간 2016.9.24-2018.9.23)

%ec%9d%b5%ec%82%b0%ec%8b%9c%ea%b2%bd%ea%b4%80%ec%9c%84%ec%9b%90%ed%9a%8c_20161107092247_00001

%ec%9d%b5%ec%82%b0%ec%8b%9c%ea%b2%bd%ea%b4%80%ea%b1%b4%ec%b6%95%ea%b3%b5%eb%8f%99%ec%9c%84%ec%9b%90%ed%9a%8c_20161107092328_00001

 

2016 군산시협회장기 테니스대회

9월 - 25 2016 | no comments | By

2016.9.25. 오후 월명테니스코트에서 제31회 군산시협회장기 테니스대회에 군산대교수팀으로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우리 팀은 송병호(회장), 김재선, 차덕준, 최상훈, 김형주, 김명준, 나 이렇게 7명으로 구성되었다.

4팀이 벌인 예선리그에서 2승1패가 되었는데 한 팀만 3패를 하고 3팀이 동률이었다. 재미있는 규정은 동률일 때 나이가 많은 팀 순서로 결승토너멘트에 진출하는 것이었다. 환갑장이가 3명인 우리 팀이 1위로 다음 단계로 진출하였다. 이런 규정은 나도 처음인데 다른 팀도 모두들 수긍하는 분위기였다.

최종적으로 4팀이 겨룬 결승 토너멘트 4강전에서 신승하고 결선에 진출해서 모두 열심히 싸웠는데 석패하고 말았다. 역시 나이는 속일 수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확인한 자리였다. 시상식에서 거액의 상금과 함께 상장을 받았다.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서 무용담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즐거운 자리를 갖고 해산하였다.

%ec%83%81%ec%9e%a5%ec%83%81%ea%b8%88

1474808858937_s 1474808879393_s 1474808903659_s

군산대 L교수댁 신축(18)

9월 - 10 2016 | no comments | By

공사 16주차(9/5-9/10)

주요작업

– 보일러 설치
– 거실 상부 공간  마무리
– 외부 조경 공사
– 문 및 창문 설치
– 위생기기 설치

20160906_100845_001_s 20160906_155132_001_s 20160908_075104_001_s 20160908_121412_001_s 20160909_132643_s 20160910_094604_s 20160910_094716_s 20160910_090433_s

카메룬 국립응급센터 종료평가

9월 - 05 2016 | no comments | By

우리나라에서 개발도상국에 원조를 주는 기관인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의 요청으로 카메룬 수도 야운데 소재 국립응급센터 종료평가에 다녀왔다. 2016년 8월 28일 인천공항을 출발하여 1주일의 평가업무를 마치고 9월5일 돌아왔다.

2009년부터 사업타당성 조사를 시작하여 2011년 건립과정 시작 2014년 12월 준공 및 개원하였다. 총예산(응급센터 신축, 의료장비, 의료인력 역량강화 등) 393만불, 건물연면적은 2,097m2, 40여병상 규모이다.

코이카 국제협력의사(정중식 박사, 응급의학전문의) 한사람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운영의 틀이 잡혀가는 상태이다. 특이한 것은 카메룬(필자의 경험으로는 중남미도 마찬가지)의 모든 병원은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의사의 처방이 나오면 환자(또는 가족)가 모든 재료를 구입해 와야 한다. 여기 응급센터도 그런 제도를 갖고 있었는데, 정박사의 노력으로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후불제를 도입하는데 성공했다. 카메룬 최초의 후불제 시행으로 혁신적인 운영을 시도하고 있다. 후불제는 상당수 미수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 자금이 필요하다.

이 응급센터에서 시도하여 성공한 카메룬 최초의 시술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렵지 않은 치료도 여기서는 장비도 인력도 미비하여 어려움이 많다. 코이카의 사업은 일반적으로 건물 짓고 장비 채워주고 수원국에 넘겨주고 끝난다. 이렇게 되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여 원조로 지어준 건물이 애물단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정박사의 주도로 많은 계획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멀지 않아 이 응급센터가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이 응급센터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독지가들의 재정적 협조도 더 필요하다. 이렇게 되면 이 사업이 아프리카의 의료발전에 기여하고 대한민국의 위상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01_20160831_104058_병원전경 02_P1010553_현관 03_P1010552_가족대기 04_P1010558_처치 05_P1010557_아트리움지붕 06_P1010559_소생실 07_P1010563_ICU 08_P1010564_NS 09_P1010575_처치실 10_P1010587_처치실 11_P1010589_관찰병실 12_P1010585_소아과처치 13_P1010584_복도 14_P1010576_방사선촬영실 15_P1010594_임상검사실 16_P1010567_소독실 17_P1010569_소독물보관실 18_P1010566_세탁실 19_P1010591_약국 20_P1010572_의공실 21_P1010608_중앙병원에서 22_P1010637_센터장과 인터뷰 23_P1010642_Dr Bonaventure 24_20160902_093425_수간호사와인터뷰 25_P1010646_한국간호사와함께 26_P1010601_코이카실

1 100 101 102 103 104 214